파초는 칸나와 함께 대표적인 여름 식물이다.
둘 다 외국에 들어온 이국적인 정서를 가진 식물이기도 하다.
내가 처음 파초를 접한 것은 중학교 때 국어시간으로 기억하고 있는데
파초에 대한 시를 공부한 것 같다.
그런데 그 때는 실물은 언감생심이고 사진으로라도
본 적이 없었는데, 선생님께서 잎이 넓은 열대식물이라고
가르쳐 주신 것 같기도 하다.
실제로 파초를 처음 본 것은 1970년대 중반
진해대야초등학교 교사로 부임했을 때였다.
중앙 현관으로 올라가는 계단 왼쪽에 잎이 넓은
파초가 자라고 있었는데 꽃은 기억이 잘 나지 않고
바나나를 닮은 열매가 열린 것을 본 기억이 난다.
가을이 깊어지고 겨울이 되니 파초는 시들고
그 자리에서 월동을 하였다.
그 때는 그게 바나나 나무인데 기후 관계로 더 크게 자라지
못하고 시드는가 보다고 생각하였다.
1998년도 가을에 교장으로 부임하니
그 파초는 그냥 자라에서 나를 반겨주고 있었다.
지금도 그 자리에 있지 않을까 싶다.
파초는 파초과의 다년생 상록식물이다. 원산지는 인도와 방글라데시
호주북부지방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과 제주도에서 자라는데,
겨울에는 줄기와 잎이 마른다.
실내정원이나 온실에서는 상록식물로 자라기도 한다.
여름에 잎처럼 생긴 포 안에 15개 정도의 꽃이 바나나처럼 두 줄로 달리며
꽃이 핀 뒤에 이 포는 떨어진다.
파초(김동엽)
조국을 안제 떠났노/파초의 꿈은 가련하다.
남국을 향한 불타는 향수/너의 넋은 수녀보다도 더욱 외롭구나.
소낙비를 그리는 너는 정열의 여인/나는 샘물을 길어 네 발톱에 붓는다.
이제 밤이 차다/나는 또 너를 내 머리맡에 있게 하마.
나는 즐겨 너를 위해 종이되리니/너의 그 드리운 치맛자락으로
우리의 겨울을 가리우자.
'이런 일 저런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리장나무꽃 (0) | 2022.08.10 |
---|---|
8월의 명상--메일에서 (0) | 2022.08.10 |
칸나 (0) | 2022.08.07 |
채송화 (0) | 2022.08.06 |
조롱박이 조롱조롱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