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순 지음 '노래 따라 동해 기행'
경북 김천 출신인 저자는 경상북도 지역, 그 중에서도 동해를 끼고 있는 지역의 노래들만
골라 그 종류와 특성, 작사가의 관점, 작곡가의 솜씨, 가수의 개성 등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싶었다고 한다.
경북 동해안 지역의 가장 위쪽인 울진에서 시작하여 영덕, 포항, 울릉도, 경주에 이르기까지
도합 5개 지역을 다룬 노래를 선별하여 작품의 미학적 측면을 음미하며, 그 특성을 정리하였다.
경상북도의 지리와 역사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환동해권에 속하는 5개 지역 ㅡ울진, 영덕, 포항,
울릉도와 독도, 경주 ㅡ 은 예로부터 바닷길로 맞닿은 해양 공간에서 무수한
이동과 교류가 활발하게 펼쳐졌던 곳이다.
물자와 인력 등의 이동과 교류에는 문화와 인문학의 상호 영향도 동시에 펼쳐지게 마련이다.
그런 가운데서 그 지방 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노래도 생기고 유행하게 되었을 것이다.
ㅇ. 울진의 노래ㅡ포구의 인사, 고향 소식, 울진의 노래, 후포 아가씨, 울진 아리랑,
ㅇ, 영덕의 노래 ㅡ외나무 다리, 영덕 아리랑, 영덕은 내 고향, 대게,
ㅇ. 포항의 노래 ㅡ 영일만 뱃사공, 서러운 포항 부두, 영일만 아가씨,포항의
내 고향, 포항 에레지,
포항 소야곡, 구룡포 처녀, 구룡포 사랑, 포항 아가씨,
영일만 친구, 과메기 아리랑, 형산강, 호미곶 등대에서,
ㅇ. 울릉도 독도의 노래 ㅡ 울릉도 타령, 한많은 울릉도, 울릉도 뱃사공,
울릉도 트위스트, 동백꽃 피는 고향, 울릉도 아가씨,
울릉도 소식, 울릉도 처녀, 동백꽃 순정, 울릉도 뱃사공,
울릉도 사연, 울릉도 사랑, 눈물의 울릉도, 울릉도 타령,
독도는 우리 땅, 홀로 아리랑, 울릉도는 나의 천국,
ㅇ. 경주의 노래 ㅡ 마의태자(이은상 작사), 마이태자(유도순 작사), 경주 나그네,
신라의 달밤, 신라제 길손, 신라의 칼,
마이태자(손로원 작사), 신라의 북소리, 님 그리운 망부석, 대왕암,
위 노래들의 작사가와 작곡가와 가수의 내력을 자세히 소개하고,
그 노래의 파급 상태까지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위의 노래들 중에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오래도록 불린 노래에는
'독도는 우리 땅'과 '울릉도 트위스트',
'신라의 달밤' 등이 있다.
저자는 이 지역의 노래가 전국적으로 유명한 노래가 적은 것을 아쉬워 하고 있다.
'이런 일 저런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웅천왜성을 찾다. (0) | 2022.02.14 |
---|---|
남녘의 매화 소식 (0) | 2022.02.13 |
진해만 생태숲에서 (0) | 2022.02.12 |
진해만 생태숲 복수초 (0) | 2022.02.11 |
겨울에 얻은 은행 열매 (0) | 2022.02.11 |